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촉매변환장치

한국말로는 촉매변환장치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catalytic converter니까 기본적으로는 어떤 상태를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다. 쉽게 말하면 자동차 배기 가스를 한번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다. 자동차 하부에 부착된 이 장치가 분실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돈이 되기 때문이다. 이 장치에는 배기 가스를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 들어가 있는데 이로 인해 중고 부품 가격이 비싸다. 어떤 차량에 부착됐었고 어떤 물질이 들어가 있는지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이지만 보통 200달러에서 1500달러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도난 당한 이 장치를 다시 부착하기 위해서는 공임비 등을 포함해 1000달러에서 2500달러, 비싸게는 5000달러 가량을 부담해야 한다.     최근 시카고 지역에서 컨버터 절도 사건이 폭증하고 있다. 절도 사건이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범행 자체가 쉽고 오래 걸리지 않으며 판매가 용이해 적지 않은 돈을 쉽게 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능숙한 범인들의 경우 컨버터를 차량에서 떼어내는 데 채 1분도 걸리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이들 범인들은 갱 조직과 연루된 경우가 많다. 컨버터를 중고상에 가지고 가서 현금으로 받기도 하지만 일부에서는 마약으로 댓가를 받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시카고 선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지난달까지 시카고에서 모두 1만7000건 이상의 컨버터 절도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절도 사건이 발생했을 개연성이 크다. 보통 차량 소유주들이 컨버터 절도 사건이 발생해도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1만7000건 이상의 절도 사건 중에서 실제로 범인을 잡은 경우는 34건으로 고작 0.2%에 불과했다. 절도로 인한 피해 금액만 1700만달러에 달한다.     2019년 1월부터 2023년 5월까지의 통계를 보면 매달 발생하는 컨버터 절도 사건은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올해의 경우에도 5월까지 2000건 이상이 발생했는데 이는 2019년의 600건, 2021년의 750건, 2020년의 900건에 비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컨버터 절도 사건은 2022년 여름에 피크를 맞았는데 올해도 현재까지 발생한 절도 사건은 모두 2184건으로 지난해에 비하면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시카고에서 가장 많은 컨버터 절도 사건이 발생하는 지역으로는 웨스트 타운, 아발론 파크, 어빙 파크, 로건 스퀘어, 노스 센터, 로워 웨스트 사이드, 링컨 스퀘어, 니어 웨스트 사이드, 제퍼슨 파크, 애본데일 등이다. 눈에 띄는 것은 살인과 총격 등의 강력 사건의 경우 시 남부와 서부 지역에 집중돼 있지만 컨버터 절도 사건의 경우 북부와 북서부 지역에서 많이 일어난다는 특징이 있다.     절도범들이 가장 많이 노리는 차량도 있다. 포드 F 시리즈 트럭과 쉐비 에퀴녹스, 혼다 CR-V, 토요타 프리어스, 포드 이코노라인, 포드 익스플로어, 뷰익 앙코르, 쉐비 크루즈, 쉐비 트랙스, 혼다 어코드 등이다. 세단이나 SUV, 트럭 등 차량 종류를 가리지 않고 차량 크기 등도 따지지 않는다.     훔친 컨버터는 중간 거래상을 통해 이 장치를 사들이는 매입자들에게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훔친 컨버터임을 숨기기 위해 가짜 문서도 만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로 폐차된 차량에서 나왔다고 허위로 작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컨버터는 고철 처리업체로 넘어가 가루 형태로 회수된다.     일리노이 주의회는 지난해 컨버터 절도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중고 부품 매입업자들로 하여금 컨버터 구입시 관련 자료를 기록하고 100달러 이상은 현금으로 지불하지 못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컨버터 절도 사건은 줄어들지 않고 있어 일부 차량 소유주들은 컨버터를 쉽게 떼어내지 못하도록 철제 커버를 설치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athan Park 기자촉매변환장치 시사분석 컨버터 절도 북서부 지역 웨스트 사이드

2023-06-14

[J네트워크] 웨스트 사이드 재개발 스토리

 스필버그 감독의 최신작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는 귀에 익은 노래가 이어진다. 막 사랑에 빠진 청춘남녀가 함께 부르는 ‘투나잇’,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을 떠올리며 노래하는 ‘마리아’, 유쾌한 군무와 함께 펼쳐지는 ‘아메리카’ 등 70여년 전 레너드 번스타인이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위해 작곡한 노래들이다. 당시 작사가는 스티븐 손드하임. 지난해 별세한 이 거장의 첫 뮤지컬 작업이었다니, 이 뮤지컬의 오랜 역사가 짐작된다.     1957년 초연에 이어 61년 나온 영화도 큰 인기를 누렸다. 지금 같으면 어림없는 일이지만, 백인인 나탈리 우드가 주연을 맡아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이민자 마리아를 연기했다.   스필버그의 리메이크는 이후 70년 만이다. 젊은 감독이라면 시대를 21세기로 바꾸고 음악도 요즘 스타일을 가미했을지 몰라도, 스필버그는 인물 설정과 대사 등은 일부 바꿨으되 음악은 물론 시대도 원작대로 50년대 뉴욕을 충실히 재현하는 데 공을 들인다. 아니, 61년 영화와 비교하면 훨씬 더 생동감 넘치게 보여준다. ‘아메리카’의 군무만 해도 과거처럼 세트가 아니라 실제 거리에서 펼쳐진다.   이를 비롯한 거리 장면은 대개 컴퓨터 그래픽의 도움없이 실제 거리에서, 주로 뉴욕에서 촬영했다.     그 비결을 스필버그는 이렇게 전한다. “사실 여전히 일부 자치구에 70년 전의 도시가 남아 있어요. 1950년대 뉴욕은 브루클린, 퀸스, 브롱크스, 할렘에 생생하게 살아 있죠. 건물들이 바뀌지 않은 곳에서만 촬영했어요.” (인터뷰집 ‘스필버그의 말’중에서) 싹 다 밀어버리는 식의 재개발이 벌어졌다면, 아마도 이 영화는 다른 방식으로 찍어야 했을 터다.   하지만 뉴욕에서도, 다름 아닌 1950년대 웨스트 사이드 지역에서 그런 식의 도시 개발이 벌어진 역사가 있다. 이번 영화는 첫 장면부터 건물들이 철거 중인 도시 풍경을 보여준다. 반쯤 파괴된 건물 밖으로 비어져 나온 욕조 등은 이곳이 사람 살던 집이란 걸 알려준다. 빈민가를 밀어버린 자리에 링컨센터가 들어설 것이란 안내판도 등장한다.     61년작 영화에는 없던 장면들이다. 시나리오를 새로 쓴 작가 토니 쿠슈너는 이 지역의 실제 역사를 영화에 자연스럽게 녹였다. 덕분에 극 중 샤크파와 제트파의 대결에도 사회적 함의가 더해진다. 이 혈기왕성하고 서로 인종이 다른 청소년 집단의 대결에는 터전을 잃는 불안이 어른거린다.   도시의 개발이 그렇듯, 영화의 리메이크도 정답은 없다.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더 과감한 리메이크가 더 재미있었을 것 같지만, 스필버그는 고전적 리메이크의 미덕을 충분히 보여준다.     영화 마지막에는 ‘For Dad’(아빠를 위해)라는 자막이 나온다. 스필버그의 아버지는 이 영화가 완성되기 전인 2020년 103세로 세상을 떠났는데, 가장 좋아한 뮤지컬 영화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였다고 한다. 이후남 / 한국 중앙일보 문화선임기자J네트워크 웨스트 사이드 웨스트 사이드 뮤지컬 영화 스필버그 감독

2022-01-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